본문 바로가기

고소작업대1125

고소작업대 사고 / 2021년 7월 (출처: 산업안전보건공단) 고소작업대 사고 / 2021년 7월 (출처: 산업안전보건공단) 1. 대구 제조공장 화물용 승강기 추락 사고 (2021.07.02) 2021년 7월 2일 오전 10시경 대구 섬유제품 제조 공장에서 납품을 위해 화물용 승강기 3층에서 패딩솜을 내리던 중 승강기와 함께 1층으로 떨어진 후 병원에서 치료를 받던 중 사망하였다. 2. 용인시 이삿짐 리프트 와이어로프 파단 사고 (2021.07.03) 2021년 7월 3일 낮12시 36분경 경기도 용인시 소재 사업장에서 이삿짐 리프트에 이삿짐과 함께 작업자가 탑승해서 올라가던 중 이삿짐 운반구용 와이어로프가 파단되며 약 3층 높이에서 추락하여 1명이 사망하였다. 3. 부산 리프트 점검 중 리프트 추락사고 (2021.07.05) 2021년 7월 5일 오전 9시 20분.. 2021. 8. 4.
안전검사 검사수수료 인상(2021.8.01 부터 적용) □ 고용노동부(장관 안경덕)은 8월 1일부터 적용되는 위험기계·기구* 안전검사 수수료**를 공고했다. * 산업재해 위험이 높은 프레스, 컨베이어 등 기계기구로, 최근 수년간(‘14~‘19년) 기계류 사망(1,697건)의 약 1/4(399 건, 23.5%)은 안전검사 대상 기계에 기인하여 발생 ** 「산업안전보건법」제166조, 「산업안전보건업무 수수료」(고용부 고시)에 근거 □ 2009년 도입된 안전검사는 2012년 이후 9년 동안 검사 수수료(평균 8.4만원)가 동결되어, 실제 비용 대비 60% 수준에 불과한 실정이다. ㅇ 이에 안전검사를 위탁받은 검사기관의 부실을 방지하고 안전검사 신뢰성을 담보하고자 재료비․인건비 등 원가 조사, 기계․기구 소유 사업장(비용 부담자, 900여개소) 의견수렴을 통해 적정.. 2021. 7. 27.
폭염주의! 일사병과 열사병의 차이 알고 예방하기 낮 최고기온이 30도를 넘어서는 폭염이 이어지면서 열사병과 일사병 등 온열질환의 위험도 높아졌다. 더운 날씨 때문에 발생하는 온열질환의 대명사처럼 쓰이는 ‘열사병’과 ‘일사병’은 혼동되어 쓰이는 경우가 많지만, 명백히 다른 별개의 질환이다. 1. 강한 직사광선에 오래 노출될 때 위험한 ‘일사병’ 1.1. 일사병은 더운 공기와 강한 태양의 직사광선을 오래 받아 우리 몸이 체온을 제대로 조절하지 못해 생기는 질환이며, 증상은 수분과 전해질 소실에 의해 무력감, 현기증, 심한 두통 등이다. 1.2. 일사병의 응급처치는 서늘한 곳을 찾아 환자를 눕힌 후 의복을 느슨하게 하고 물이나 이온음료 등으로 충분한 수분섭취를 시켜야 하며, 의식이 없을 때는 아무것도 섭취해서는 안 된다. 2. 덥고 밀폐된 공간에서 활동할 .. 2021. 7. 22.
(공지)IPAF 국제안전위원회 전문가 추천 1. IPAF(국제고소작업대연맹)은 고소작업대의 안전과 효과적인 사용의 촉진을 목적으로 설립된 비영리 회원제 국제기구입니다. (www.ipaf.org) 2. IPAF(국제고소작업대연맹)에서는 고소작업대를 사용할 때 치명적이고 심각한 사고를 줄이기 위해 국제안전위원회(International Safety Committee)를 신설 중에 있으며, 이에 아래와 같이 "보건/안전 전문가"를 추천받고 있습니다. 3. IPAF 국제 안전 위원회 세부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위원회 구성: (a) 현재 6명 (영국 4명, GCC 1명, 미국 1명) (b) 추천 8개 국가/각1명 (북미, 독일, 스위스, 스페인, 이탈리아, 남미, 아시아, 프랑스) (2) 지원자격: (a) 보건/안전 개선에 대한 열정, 추진력 및.. 2021. 7. 21.
(공지) 유해위험기계등 안전인증 및 안전검사 제도에 대한 실효성검토를 위한 의견수렴 요청 규제개혁위원회에서는 "유해위험기계등 안전인증 및 안전검사 제도" 와 관련한 개선의견을 수렴하고 있습니다. 아래 메일 및 첨부를 참조하시어 제도 개선 의견서를 제출하시기 바랍니다. --------- 원본 메일 --------- 보낸사람: 소문 받는사람: 날짜: 21.07.16 11:45 GMT +0900 제목: [수신 : 한국크레인협회 업계의견 수렴 담당자] 유해위험기계등 안전인증 및 안전검사 제도에 대한 실효성검토를 위한 의견수렴 요청 첨부파일: 이해관계자 의견서_유해위험기계등 안전인증 및 안전검사.hwp, 공문_적합성평가 실효성검토를 위한 업무협조 요청.pdf, 1.’21년도 적합성평가 실효성검토 대상제도 목록.hwp 수신 : 한국크레인협회 업계의견 수렴 담당자분 귀 협회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 드리며 .. 2021. 7. 21.
IPAF캠페인: 도로작업시 안전 대책 고소작업대 안전 - 도로/부근 작업 고소작업대(MEWP, Mobile Elevating Work Platform)를 사용하여 도로 또는 도로 부근에서 작업할 때는 안전에 유의하여 작업해야 합니다. IPAF(국제고소작업대연맹)의 안전 캠페인 “도로작업시 안전 대책”에서는 주요 위험 요소와 이를 피하는 방법”들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특히 사전계획과 교통통제 없이 도로 옆에서 작업하는 것은 매우 위험성이 높습니다. 주행 차량이 상승 작업중인 고소작업대(MEWP)와 충돌하는 사고는 치명적입니다. 고소작업대(MEWP)와 작업자가 차량의 주행 경로에 있지 않고 안전하게 배치되는 것이(교통통제) 필수적입니다. 도로 또는 도로 부근에서 고소작업대(MEWP)로 작업할 때는 항상 다음을 수행하십시오: •사전계획 - 고소작.. 2021. 7. 14.